우쿨렐레 정보

우쿨렐레 목재 종류에 따른 음색특징

Kmusiclab 2014. 4. 7. 22:13
반응형

우쿨렐레 목재 종류에 따른 음색특징 




글 : 우쿨렐레 전문점 위키위키


우쿨렐레 음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바로 바디목재의 종류이다.

그중에서도 사운드보드(Sound Board)라고도 불리우는 바디상판이 우쿨렐레 사운드에 80%나 영향을 미친다.

상판은 우쿨렐레줄과 동시에 떨리면서 소리를 크게 울려주는 역할을 하고, 측,후판은(Side & Back)은 우쿨렐레 줄과 상판이 울린 사운드를 반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우쿨렐레 소리는 바디안에서 공명하면서, 사운드홀을 통해 크게 울려 나오게 되는것인데,

우크렐레를 고르기전 바디 상판의 목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도록 하자.





우쿨렐레 바디에 주로 사용되어지는 음향목은 샤펠(Sapele),마호가니(Mahogany),스프러스(Spruce),망고(Mango),메이플(Maple), 코아(Koa)등 다양하다.


코아 (Koa Wood)






코아는 주로 하와이에서 자라는 목재이다.

아름다운 나무결과 광택, 견고한 내구성 때문에 오래전부터 가구와 카누, 악기제작에 사용되었다.

현재는 과도한 벌목으로 인해 하와이에서 벌목이 제한된 매우 귀중한 목재이다.

음향목으로서의 코아나무 음색은 마호가니의 중음역대와 메이플의 고음역이 혼합된 사운드라고 생각하면 쉽다.

나무의 밀도가 높아 밝고 명료하면서도 힘이 있는 사운드가 특징이다.

오랜시간동안 길을 들여 에이징 시켜줘야 하고, 컬리(Curly) - "수직으로 난 나무결"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등급이 올라갈수록 

가격도 비싸진다.

하이엔드급 하와이 브랜드 우크렐레들이 주로 퀄리티있는 하와이안 코아 단판으로 만들어진다.



마호가니(Mahogany)





마호가니로 제작된 우쿠렐레는 부드럽고 따뜻한 음색이 특징이다.

서스테인도 길고 내구성이좋아 우쿨렐레를 비롯해 여러악기들의 음향목으로 많이 사용된다.



샤펠(Sapele)





세계 원목도감에 의하면 샤펠은 수축률이 적당하고, 건조되었을때 치수안정성이 높아 접착,도장성이 좋아 악기제작에 매우 적합한 목재이기도 하다.

재식이 짙고, 교착목리로 인해 매우 규칙적인 무늬가 나타나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은 음향목이다.

매력적인 재면과 강도, 내구성을 모두 갖춘 샤펠은

마호가니가 가지고 있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색적인 특징과  밝고 경쾌한 음색적인 특징을 모두 갖췄다.

목재의 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가격도 저렴하여 입문용 우쿨렐레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목재이다.


스프러스(Spruce)





스프러스는 전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인데, 흔히 '가문비 나무'라고 불리운다.

공명성이 뛰어나고 무게도 가벼워 우쿨렐레와 기타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이는 단골 목재이다.

내구성이 매우 좋아 우쿨렐레 바디 상판에 걸리는 장력에도 잘 견뎌내는 튼튼한 음향목이다.

스프러스는 자라는 지역에 따라 저먼 스프러스, 시트카 스프러스, 엥겔만 스프러스등으로 나뉘는데,

우쿨렐레와 기타 제작에 표준이 되고 있는 목재는 시트카 스프러스이다.

시트카 스프러스는 박력있게 앞으로 쭉 뻗어나가는 시원시원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망고(Mango)





말레이 반도, 미얀마, 인도 북부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망고나무는 악기로 제작되었을때 나오는 특유의 따뜻함 때문에

우쿨렐레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목재이다.

마호가니와 비슷한 느낌의 따뜻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해외 유명 우쿨렐레 포럼 사이트에서도 지금 언급한 코아,마호가니,샤펠,스프러스,망고에 대한 비교리뷰가 가장 많다.

그만큼 우쿨렐레 유저들이 가장 선호하는 목재들인 것이다.

 

우쿨렐레를 고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쿨렐레 전문점에 방문하여 다양한 목재로 만들어진 우쿨렐레 소리들을 비교해본 후

본인이 듣기에 좋은 음색을 가진 우쿨렐레를 선택하는 것이다.


오프라인으로 직접 우쿨렐레 전문점에 방문하여 우쿨렐레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온라인에서 구매할 경우

바디상판 및 측후판 목재의 종류 외에도 나머지 스펙들을 꼼꼼히 체크하여 구매하도록 하자

 















반응형